본문 바로가기

Spring

(35)
일정 관리 서버 만들기 설계 (API 명세서, ERD 작성) API 명세서  DTO 목록ScheduleSaveRequestDto{ "content": string, “author”: string, “password”:string,} ScheduleUpdateRequestDto{ "content": string, “author”: string, “password”:string,} ScheduleResponseDto{ "id": Long, "content": string, “author”: string,} 성공Status Code 201 Created실패404 NotFoundScheduleListResponseDto[ { "id": Long, "content": string, “author”: string }, { "id": Long, "content": string..
DTO를 사용하는 이유 DTO?Data Transfer Object, 즉, HTTP 메시지를 전달하고 스프링에서 계층간의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객체 DTO의 사용 이유1. Entity와 DTO의 책임을 명확하게 분리하기 위함Entity는 ORM을 해주기 위한 객체DTO는 계층간의 데이터를 전송해 주기 위한 객체 & Client에게 Entity정보를 숨기기 위함 -> DTO 대신 Entity를 사용하게 된다면 Entity가 가지고 있는 민감한 정보(주민번호, 비밀번호,,)가 노출 될 수 있음 2. DB 구조가 변경됐을 때 코드의 유지보수에 용이하기 위함 예시MemberController@RestController@RequiredArgsConstructor@RequestMapping("/api/member")public c..
Web Application / WAS / Servlet Web Server정적 리소스(HTML, CSS, JS, 이미지) 제공Application 로직을 포함할 수 있지만 특화는 WAS WAS(Web Application Server)웹 서버의 기능 포함 + Application 로직 수행 + DB와 상호작용 => 동적 컨텐츠 생성 (톰켓,,)Java에서는 Servlet Container 기능을 제공하면 WAS 실제 웹 시스템 구성정적은 웹 서버, 동적은 WAS웹 서버는 오류가 날 일이 적이 때문에 오류 화면을 보여줄 수 있음 Servlet만약, 로그인을 할 때 실제로 전달되는 데이터는 아래처럼 HTTP메시지로 주고 받아짐 -> 그렇기에 서버는 서버와 TCP/IP 연결....부터 시작하면서 HTTP Message와 관련된 작업과 비지니스로직, 연결 등을 해 ..